전기 기능장- 유효전력, 무효전력
전력에 대한 주제로 포스팅 하면서 전기기능장 기출 문제 중에 전력이란 용어가 들러간 문제를
정리했다. 문제 갯수는 몇 개 되지 않지만 전력이란 개념을 이해하고 전기공부를 하는 것이 정도
일 것 같다. 먼저 문제들을 한번 훝어 보면 회로이론, 전력공학, 송배전학, 전기기기 등등에서 출제
된 문제들이다. 즉 같은 전력이지만 분야마다 조금씩 사용하는 개념이 다르다. 전력 손실과 관련
한 문제는 기출 문제에서 보지 못해서 넣지 않았다. PL = I2R 로 계산하며 송전선의 전압강하가
송전선의 저항으로 인한 전력 손실 때문에 발생한다는 의미이다.

방문해 주세요.
1. 소비전력
문제 3, 6, 8, 9을 보면 문제에서 공통적으로 묻는 용어가 있다. "소비되는 전력은?" 전력이 소모는
되는데 어디서 소모되는가의 문제이다. 전력은 저항에서 만 소비된다.
3. R=40 Ω, L=80mH 의 코일이 있다. 이 코일에 220V, 60Hz의 전압을 가할 때 소비되는 전력은
약 몇 W 인가? 2015 1회
① 79 ② 581 ③ 771 ④ 1352
[해설] 이 문제는 코일이 있는데, 코일 내에 저항 성분과 인덕터 성분이 같이 있다는 의미이다.
P = I2 / R = (220/50.1)2 * 40 = 771.31
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2013년 1회, 2010년 2회
① 5808[W] ② 7744[W] ③ 9680[W] ④ 12100[W]
8. R=40[Ω], L=80[mH]의 코일이 있다. 이 코일에 100[V], 60[Hz]의 전압을 가할 때에 소비되는
전력은 몇 [W]인가? 2011년 2회
가. 100 나. 120 다. 160 라. 200
[해설] 3번 문제와 동일
4. 100V, 25W와 100V, 50 W의 전구 2개가 있다. 이것을 직렬로 접속하여 100V의 전압을 인가
하였을 때 두 전구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 2015 1회
① 150 ② 200 ③ 400 ④ 600
[해설]전구는 각각의 저항에서 소비 되므로
25w = 1002 / R1 50w = 1002 / R2 R1 = 400, R2= 200 직열이므 400+200 = 600옴
9. 정격전압에서 소비전력이 600[W]인 저항에 정격전압의 90[%]의 전압을 가할 때 소비되는
전력은? 2010년 2회
가. 480[W] 나. 486[W] 다. 540[W] 라. 545[W]
[해설] 먼저 저항 값을 구해야 한다. P1 = V2 / R 이므로 600 = V2 / R 이다 ∴ R = V2 / 600
신규 전력 P2는 P1대비 90%의 전압을 공급하므로 P2 = (0.9V)2 / (V2/600) =600 * 0.81= 486
2. 평균전력
전기기능장 송배전선 3- 수용율, 부하율 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가 된다.
1. 총 설비용량 80kW, 수용율 60%, 부하율 75%인 부하의 평균전력은 몇kW 인가? 2016 1회
① 36 ② 64 ③ 100 ④ 178
3.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역율
피상전력(Pa) : 교류회로에서 보통 P = VI라고 한다. 즉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을 곱하면 피상
전력이 되며 단위는 [VA](전압의 단위V와 전류의 단위 A를 곱했다)
유효전력(P) : 위에서 구한 소비전력이 유효전력의 다른 말이다. 저항 R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유효전력이라고 하며 단위는 [w] [Kw]이다. 실제 부하에서 사용한 전력을 의미한다.
무효전력(Pr) : 실제 아무일도 할 수 없는 전력으로 사용 못하는 전력이다. 단위는 [var]
결국 피상전력은 유효전력과 피상 전력을 같이 포함하고 있으며 무효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전력용 콘덴서를 사용한다. 위의 3개의 전력 관계는 Pa2 = P2 + Pr2 의 관계이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삼각함수를 이용해보면 cosθ = P / Pa , sinθ = Pr / Pa 이다
역율 : 피상전력 중에 유효전력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시하는데, 역율 =(P / Pa) * 100 [%] 이지만
cosθ로 표시할 수 도 있다.(이때는 단위 없음)
유효전력 P = VIcosθ 이며 VI는 피상전력 Pa 이다(P = Pa cosθ)
무효전력 Pr = VIsinθ " (Pr = Pa sinθ) 으로 구할 수 있다.
체계적인 전기기능사 공부가 필요하시면 오롬 전기 아카데미 (https://elecademy.academy-cloud.net/)을
방문해 주세요.
2. 1500kW, 6000V, 60Hz의 3상 부하의 역률이 75%(뒤짐)이다. 이때 이 부하의 무효분은 약 몇
kVar 인가? 2016 1회
① 1092 ② 1278 ③ 1323 ④ 1754
[해설] 유효전력은 15000kw 이고 역율은 0.75 전압은 6000v일 때 무효전력을 구하란 문제이다.
피상전력 Pa = P / cosθ 이므로 Pa = 15000/0.75 = 20000kVA
무효전력 Pr = Pa sinθ = 20000 * √(1-0.752) = 13228.75kvar
5. RL 병렬회로의 양단에 e = Em sin(ωt+θ)[V]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 소비되는 유효전력은?2013년 2회
[해설] R-L 병렬회로이고 유효전력을 구하므로 저항 R에 걸리는 전력이 유효전력이다
전압 실효값은 Em / √2 이므로 P = V2 / R = (Em /√2)2 / R = Em2 / 2R
가. 0 나. 1000 다. 1732 라. 2000
[해설] 전압과 전류가 극형식과 복소수 형식으로 주어졌으므로 극형식으로 통일하면
무효전력 Pr = V I sinθ = 100∠60 * 20 ∠30 * sin30 = 2000∠90 * 0.5 = 1000∠90 = 1000
(Θ = V와 I의 위상차 60 - 30 =30도)
4. 전력량 계산
10. 3상 유도전동기의 전압이 200[V]이고, 전류가8[A], 역률이 80[%]라 하면, 이 전동기를
10시간 사용했을 때의 전력량은 약 몇 [kWh] 인가? 2008년 1회
가. 12.8 나. 16.3 다. 22.2 라. 27.8
[해설] 전력량은 전력 x 시간이다. 먼저 유효전력을 구하면, P = √3VIcosθ이다 위의 공식과
다른 점은 3상이기 때문에 √3이 들어간다는 차이점 만 있다.(√3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3상의
선전압 상전류를 이해해야하며 추후 포스팅 예정)
P = √3x200x8x0.8 = 2.217kw 10시간 사용했으므로 Pxh= 2.217kw x 10h = 22.17kwh
11. 어떤 가정에서 220V, 100W의 전구 2개를 매일 8시간, 220V 1kW의 전열기 1대를 매일 2
시간씩 사용한다고 한다. 이 집의 한 달 동안의 소비전력량은 몇 kWh 인가?(단, 한달은 30일로
한다.) 2007년 1회
가. 432 나. 324 다. 216 라. 108
[해설] 문제에 3상 언급이 없으면 단상으로 간주하고 P=VIcosθ 이때 역율이 언급이 없으면 1로
간주한다.
- 220V, 100W의 전구 2개를 매일 8시간 : 100w x 2 x 8h = 1.6kwh
- 220V 1kW의 전열기 1대를 매일 2시간 : 1kw x 1 x 2h = 2kwh ∴ 매일 1.6+2 = 3.6kwh 사용
한달은 3.6kwh x 30 = 108kwh
'전기기능장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장 필기 전기이론 2-교류회로(평균값, 실효값) (1) | 2017.01.15 |
---|---|
전기 기능장 필기 전기이론 1- 선전류, 상전류, 선전압, 상전압 (2) | 2017.01.02 |